프로젝트 초기, 공사비의 산정은 해당 프로젝트의 타당성을 분석하는데 중요한 역활을 한다. 이러한 공사비의 개념 및 산정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공사비 개념 및 구성항목
공사원가 중 공사비는 총 공사원가, 보험료, 부가세로 분류된다. 총 공사원가는 순공사원가, 일반관리비, 이윤으로 분류되며, 각 구성항목에 대한 세부내용은 아래와 같다.
- 재료비는 순공사원가로 직접 재료비 및 간접 재료비로 나뉘며, 직접 재료비는 목적물의 실체를 형성하는 물품의 가치이며, 콘크리트, 철근, 벽돌 등이 있다. 간접 재료비는 공사에 보조적으로 소비되는 물품으로, 유류비, 가스, 기구, 비품 및 가설재 등이 있다.
- 노무비는 공사에 소요되는 순공사원가로 직접노무비와 간접노무비로 나뉘며, 직접공사비는 공사현장에 직접 종사하는 근로자의 임금이다. 간접노무비는 현장에서 종사하는 종업원 및 현장 감독자의 노임이다.
- 경비는 공사에 직접적으로 소요되는 순공사원가로 경비에는 기계경비, 품질관리비, 운반비, 전력비, 폐기물 처리비, 안전점검비, 가설비 등이 포함된다.
- 일반관리비는 기업의 관리 활동부문에서 발생하는 제비용으로 원가에 일반관리비율을 곱하여 산정한다.
- 기타 경비는 위의 네 가지를 제외한 원가로, 수도광열비, 특허권 사용료, 기술료, 지급임차료, 복리후생비, 소모품비, 공과금, 안전관리비, 사무용품비 등이 포함된다.
- 이윤은 기업의 영업이익으로 회계예규 작성기준에 준하여 산정하는데, 15%를 초과할 수 없다.
- 산업재해보험료는 산업재해를 보상하기 위한 항목으로 적용요율은 3.8%이다.
- 공사 손해보험료는 발생하는 재해에 대비하기 위한 보험에 가입시 지급하는 보험료로, 가입대상은 PQ대상공사, 대안입찰이나, 턴키입찰공사 등이다.
- 잠정금액은 미확정 공종이 있을 경우, 특기 시방에 기재되어 사후 정산되는 항목이다.
현행 공사비 산정방법
건설공사의 공사비 산정에 사용되는 방법은 표준품셈을 의한 방법과, 실적공사비와 공사비 지수를 이용한 방법이 있다.
표준품셈에 의한 공사비 산정방법
표준품셈은 표준적인 공법 및 공종을 기준으로 단위 작업당 소요되는 재료, 노무량, 장비의 사용시간을 수치로 표시한 적산기준이다. 이는 공공공사 등에서 건설공사 예정 가격 산정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재료비, 노무비, 경비 등의 비목은 표준품셈과 단위당 가격에 의해 산정하고, 간접노무비, 보험료, 관리비 등의 표준품셈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비목은 비율 분석방법에 의하여 산정한다. 표준품셈에 의한 예정 가격산정은 기초자료에 의한 보편성을 가지고 있지만, 공사 규모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며, 실제의 거래 가격 반영이 미흡하고, 시공 형태의 변화 등 신공법 등에 의한 공사의 원가를 반영하는 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실적공사비에 의한 공사비 산정방법
실적공사비에 의한 산정은 표준품셈을 사용하지 않고, 이미 수행된 사업에 의해 축척된 공종 단가를 추출하여 사업규모나 공법이 유사한 건축공사의 예정 가격 산정에 활용하는 것이다. 현재 이는 공공건설공사에 표준품셈에 의한 방법과 병행 운영을 추진하고 있는데, 이는 표준품셈이 새로운 공법 적용 의지를 약화시키며, 저가입찰의 원인이 된다는 의견 때문이다. 건설공사비 지수는 물가변동을 추정할 수 있는 지표로 설계변경과 실적공사비 자료의 현가화를 위한 보정계수로 활용되고 있다. 보정 시 표준 조건에서의 시공단가를 기준으로 시방의 차이에 따른 상관관계 등 공사 특성을 기준으로 일정액을 가산하며, 공사규모에 따른 가산율로 가산하고, 공사기간에 따른 시간제 연동으로 보정계수를 산출한다.
공사비 지수에 의한 공사비 산정방법
공사비 지수는 기준시점의 수치를 100으로 하여, 투입되는 제반요소의 가격을 종합적 가격 수준을 하나의 숫자로 나타낸 것으로 투입되는 물가를 실적 가격으로 환가 하여, 수행 시 기존 공사의 관련 자료를 현가화하여 비교할 수 있게 한다. 공사비 지수는 산정대상을 건설공사에 투입되는 직접공사비로 하고, 투입자원에 대한 물가변동을 추정하기 위해 작성된 가공통계 자료를 활용하며, 가중치 자료는 산업연관표 상의 가중치와 생산자 물가지수의 가중치를 곱하여 산정하고 있다.
개산 견적의 개념 및 기법
개산 견적의 개념
개산 견적은 프로젝트 초기 설계가 시작되기 전 타당성 분석이나, 설계 대안의 경제성 평가를 위하여 수행된다. 개념 견적, 기본 견적, 예산 견적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개산 견적은 설계도면 등이 없는 상태에서 공사비를 예측하는 것으로 유사한 규모의 공사에서의 실적자료를 바탕으로 견적자의 경험과 판단에 의해 수행된다. 개산 견적이 방법으로는 공사비 지수법, 공사비 용량법, 계수 견적법, 변수 견적법, 기본 단가법 등이 있다.
개산 견적의 기법
- 공사비 지수법은 실적공사자료를 현가화 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여기에는 두 가지 종류의 공사비 지수가 사용된다. 공사비 지수는 개체 지수와 생산지수로 구분할 수 있는데, 개체 지수는 주요 재료 및 노무에 대한 공사비 지수이며, 생산지수는 완성된 건축물 전체의 공사비 지수이다.
- 공사비 용량법은 공사수량과 이를 완성하기 위한 자원의 관계에서 기인하는데, 수량의 예로는 연면적, 병원의 베드수, 고속도로의 길이 등이 있다.
- 계수 견적법은 공사를 구성하는 각 요소에 대한 공사비와 기준 요소에 대한 공사비의 비율을 참고한다. 기준이 되는 요소와 전체 공사비의 비율을 실적 자료로부터 얻어, 우선적으로 기준 요소에 대한 공사비를 산출하고 다른 요소의 경우는 기준 요소에 대한 비율로 곱하여 산정한다.
- 변수 견적법은 설계 변수에 근거하는 것으로 충분한 기본 도면이 있는 설계 초기단계에서 대안 중 적합한 것을 고를 수 있는 데이터를 산출하기 위한 방법이다.
- 기본 단가법은 단위면적과 같은 기본단위에 대한 공사비 자료를 근거로 공사비를 산출하는 것으로, 프로젝트의 특성에 대한 계수를 사용하여 조정한다.
관련글
'건축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강도 콘크리트의 폭렬현상 (0) | 2021.03.28 |
---|---|
철근콘크리트의 부착력 (0) | 2021.03.28 |
지오폴리머 콘크리트 (0) | 2021.03.23 |
건축공사의 공사비 (0) | 2021.03.22 |
콘크리트 품질관리 (0) | 2021.03.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