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이야기24

CM : Construction Management 건설사업의 대형화되면서, 그 조직이나 구성원이 많고 이해관계가 복잡해지면서, 이를 중재할 능력이 발주자에게도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발주자의 전문성이 이를 중재하기 충분치 않거나, 전문성을 위하여 발주자의 조직이 비대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를 위해 발주자를 대신하여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조직인 CM이 생겨났다. 건설사업 발주방식 건설사업의 발주방식은 여전히 보편적으로 사용되어온 설계시공 분리 방식이 대부분이지만, 설계시공 일괄 방식의 발주도 늘어나고 있다. 다른 발주방식으로는 기술제안 입찰, 설계공모 등이 있다. 설계시공분리방식 설계시공분리방식은 발주자가 설계자를 선정하여 설계를 완성한 후, 이를 바탕으로 입찰을 통해 시공자를 선정학고 공사를 진행하는데, 충분한 설계로 품질에 대한 확실성은 높지만, 설계자.. 2021. 4. 5.
작업 분류체계 작업 분류체계, W.B.S.(Work Breakdown Structure)는 결과물을 얻기 위한 업무범위를 정의하고, 관계자들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며, 프로젝트의 현황과 진도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작업 분류체계의 정의 미국 PMI는 W.B.S.를 ‘프로젝트 작업의 전체 범위를 조직하고 정의하는 프로젝트의 집합적 요소'로 정의하고 있다. W.B.S.는 프로젝트의 주요 업무단계별 작업을 정의하여 소요시간과 소요금액을 계획함으로 자원을 할당하기 때문에 작성하는 목적에 따라서 W.B.S.의 구성요소는 금액, 시간, 결과물 등 각기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인 수준의 구성에서의 복잡도는 높지 않지만 세부작업을 위한 구성을 더 할수록 복잡도는 높아진다. 작업 분류체계의 작성 절차 W.B.S.를 작성하기.. 2021. 4. 5.
공정관리 공정관리란 프로젝트의 정해진 사업기간 내에 최적의 비용 투자로 최고의 품질의 결과물을 완성하기 위하여 프로젝트와 관련된 요소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활동이다 공정관리의 정의와 목적 공정관리는 업무분류체계, W.B.S(Work Breakdown Structure)를 작성하여 각 작업의 선·후행 관계를 확인하여 합리적인 일정계획을 수립하며 인원, 자재, 장비의 투입 시점을 검토할 수 있게 하고, 계획 공기와 실행 공기 간의 비교 분석으로 대책을 수립하게 한다. 미국의 PM(Project Management) 협회에서는 공정관리를 ‘사업의 완료를 적시에 관리하기 위하여 필요한 모든 과정'이라고 정의하며 일정관리계획, 작업 정의, 작업순서, 작업의 자원 추정, 작업 기간 산정, 공정계획 수립, 공정계획 조정으로.. 2021. 4. 4.
VE : Value Engineering V = F / C V(Value) : 가치의 척도 (사용가치 및 귀중가치) F(Function) : 요구되는 기능 C(Cost) : Life Cycle Cost VE의 개념 VE (가치공학)는 특정 제품의 기능을 규정하고 설정함으로 그 기능을 최소한의 비용으로 달성하는 방안을 도출해 냄으로써 그 가치를 증진시키기 위한 분석기법이다. 이는 기능과 비용의 비율을 개선하여 가치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제품의 기능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원가를 감소시키거나, 동일한 원가로 더 나은 제품의 기능을 발휘하게 함으로써 기업의 경쟁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이다. 또한 VE는 요구 기능을 충족시키면서도 불필요한 원가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공사 관계자들이 행하는 팀 활동으로써 원가절감과 생산성 증대, 공기단축을 목적으로 .. 2021. 4.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