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이야기24

콘크리트의 혼화재료 혼화재료는 한 가지 효과만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몇 개의 부수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다. 혼화재료의 종류 최근 시공방법이나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콘크리트에 요구되는 성능도 다양해지고 있어, 이에 따른 다양한 혼화재료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량에 따라 적은 양을 사용하는 혼화제와 많은 양을 사용하는 혼화재로 나뉜다. 혼화제 통상시멘트 중량의 1% 정도 이하를 사용하며, 약품적으로 소량 사용 작업 성능이나 동결융해 저항 성능의 향상 : AE제, AE감수제 단위수량, 단위 시멘트량의 감소 : 감수제, AE감수제 감수 효과와 강도의 증가 : 고성능 감수제 감수 효과를 이용한 유동성의 개선 : 유동화제 응결, 경화시간의 조절 : 촉진제, 지연제, 초지연제, 급결제 염화물에 의한 강재의 부식억제 : 방청제 .. 2021. 3. 20.
시멘트 콘크리트의 주요한 역할을 하는 시멘트의 세부사항은 아래와 같다. 시멘트의 성분 시멘트는 기본적으로 석회석과 점토를 1,450℃로 가열하여 얻은 클링커에 응결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석고를 첨가하여 분쇄한 것이다. 점토는 유사한 반응성을 가진 원료 혼합물로 대체되기도 하며, 석고 또한 여러 형태니 칼슘 설파이트로 대체 가능하다. 전형적인 포틀랜드 시멘트의 화학성분은 산화칼슘(CaO) 60~67% 이산화규조(SiO) 17~25% 알루미늄(Al2O3) 3~8% 산화철(Fe2O3) 0.5~6.0% 산화마그네슘(MgO) 0.1~4.0% 산화나트륨(NaO)+산화칼륨(K2O) 0.2~1.3% 삼산화 규소(SO3) 1~5% 이에 알라이트, 벨라이트, 알루미네이트상, 페리이트상과 같은 클링커 광물과 미량의 알칼리 성분으로.. 2021. 3. 20.
콘크리트의 재료 콘크리트란 시멘트, 물, 잔골재, 굵은 골재 및 혼화재료로 이루어진 혼합물과 경화체를 말한다. 일반사항 콘크리트란 시멘트, 물, 잔골재, 굵은 골재 및 혼화재료로 이루어진 혼합물과 경화체를 말한다, 이중 굵은골재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모르타르라 하고, 모르타르에서 잔골재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시멘트 페이스트라 한다. 콘크리트는 시멘트 콘크리트의 약칭으로서 시멘트 페이스트에 의하여 모래와 자갈 등의 골재를 접착하거나 결합해서 만든 경화체이다. 일반적인 콘크리트는 공기 5%, 물 15%, 시멘트 10%, 골재 70%로 이루어져 있으며, 골재를 제외한 30%가 시멘트 페이스트로 이는 골재 사이의 간극을 메우고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유동성을 확보하며 응결, 경화과정을 거쳐 수화가 끝난 이후 골재와 결합하여 강도.. 2021. 3. 18.
콘크리트의 역사 콘크리트는 무기질(시멘트류, 석회, 석고 등) 또는 유기질(아스팔트, 폴리머, 레진(resin), 플라스틱 등)의 결합재인 페이스트에 의하여 골재를 결합하고 성형하는 혼합물 및 그 경화체이다. 그 시작으로 이야기되는 것은 1820년경 영국에서 발명된 포틀랜드 시멘트가 발명되고 이후 철망에 보강된 콘크리트가 사용되면서이다. 또는 로마시대 화산회와 석회석으로 만들어진 수경성 시멘트를 그 시초로 보기도 한다. 고대의 콘크리트 그리스 로마시대 이전에도 석회와 석고를 이용한 모르타르는 세계적으로 사용되었는데, 석고가 석회에 비해 소성하는데 들어가는 에너지가 적기 때문에, 더 먼저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며, 점차 석회의 사용이 보편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현존하는 최고의 것은 기원전 2500년경의 이집트 쿠퍼왕의 피라.. 2021. 3.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