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콘크리트8

고강도 콘크리트 초고층건물의 증가와 중·저층이라도 장지간이 요구되는 구조물이 늘어나면서, 고강도 콘크리트의 도입은 보편화되고 있다. -목 차- ▶ 고강도 콘크리트의 정의 ▶ 고강도 콘크리트의 특성 ▶ 고강도 콘크리트의 적용 ▶ 고강도 콘크리트의 적용현황 고강도 콘크리트의 정의 압축강도는 콘크리트의 가장 중요한 성능 중 하나이며, 이는 주로 설계기준강도 fck로 표기된다. 고강도 콘크리트는 보통 콘크리트보다 높은 강도를 가진 콘크리트를 말하는데, 그 의미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다. 미국의 경우, 보통 중량 콘크리트의 경우 42 MPa 이상. 경량 콘크리트의 경우 28 MPa 이상을 고강도 콘크리트로 구분한다. 최소 강도는 21 MPa로 설정하였으며, 상한은 없이 105 MPa 이상을 초고강도 콘크리트로 구분하고 있다. 일본.. 2021. 3. 29.
화재시 철근과 콘크리트의 성질 변화 철근콘크리트를 구성하는 콘크리트와 철근은 화재로 고온에 노출됨에 따라 성질이 변화하여 상온에서 보다 강도가 낮아진다. 콘크리트의 성질 변화 콘크리트의 경우는 구성 물질과 배합비에 따라 영향이 다르게 나타난다. 밀도 일반적인 콘크리트의 밀도는 2.3~2.5t/㎥이지만, 배합설계에 따라 다르고, 골재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특히, 경량 콘크리트의 경우, 다공성 골재를 사용하면서 일반 콘크리트 밀도의 1/2~2/3 수준으로 줄어든다. 콘크리트가 고온에 노출되면, 자유수 및 혼합수가 증발하여 밀도가 감소하는데 400℃정도가 되면 5% 정도의 밀도가 감소하는데 온도에 따른 밀도의 산출식은 다음과 같다. 20℃≤T≤115℃, 115℃<T≤200℃, 200℃<T≤400℃, 400℃<T≤1200℃, 비열 비열은 수분.. 2021. 3. 29.
지오폴리머 콘크리트 콘크리트의 결합체인 시멘트의 제작에는 환경적인 우려가 있어 대안을 찾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지오폴리머 콘크리트 개발도상국에서 기반시설 건축에 대한 수요는 필수적이며, 이는 건축 자재 수요의 증가로 나타난다. 콘크리트는 가장 대중적인 건축재료이며, 시멘트는 콘크리트의 결합체이다. 가장 대중적인 건축자재인 시멘트의 전 세계적인 수요는 2020년 대비 2050년에는 50% 정도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그러나 1톤의 시멘트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소성을 위한 연료나 다른 재료들이 2.8톤 소모되고, 천연자원의 감소로 이어진다. 또한 1톤의 시멘트 생산에는 1톤의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며, 시멘트 생산으로 인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전 세계 배출량의 9~10%를 차지할 것이라는 예측도 나오고 있다. 이런.. 2021. 3. 23.
콘크리트 품질관리 콘크리트의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사용 재료의 품질, 배합, 시공방법, 양생방법, 재령, 시험방법 등이 있다. 자재관리 콘크리트 품질관리의 기본 요소는 관련 자재의 관리이며, 그중 용적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골재의 품질관리는 그 중 많은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 골재도 다양해져 생산방식에 따라, 천연골재, 인공골재, 재생골재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채취장소의 차이로, 강, 육지, 산, 바다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고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레미콘 품질관리 항목 중에 골재의 표면 수율 관리와 입도 관리가 가장 중요하나, 대부분의 레미콘 공장에서는 골재를 야적하고 있어 함수율 관리가 어려운 편이다. 따라서 골재의 품질확보를 위해서는 골재 저장시설등을 설치하고 골재의 입도를 조정하기 위한.. 2021. 3.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