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소한 정보

공인인증서 vs 간편인증

by 왔썹 2021. 4. 20.

종합소득세 신고를 위해 홈텍스를 사용하거나, 정부 24에서 주민등록등본을 발급받을 때 그간은 공인인증서가 필수였기 때문에, USB에 저장된 공인인증서를 가지고 다녔어야 했습니다. 만일 USB를 다른 곳에 놓고 오셨다면 급한 대로 공인인증서를 재발행받아 사용해야 했지만, 여러 군데 등록되어 있던 공인인증서라면 머리가 좀 아파왔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이를 대체할 다른 방법이 생겨 소개드립니다

 

 

공인인증서? 공동인증서? 간편 인증?

지난 2020년 12월 10일 그간 시행되어 왔던 공인인증서 제도가 21년 만에 폐지되면서, 민간의 다양한 전자서명이 기존의 공인인증서와 동등한 법적 효력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기존의 공인인증서는 액티브 X에서 자유로워진 공동인증서라는 이름으로 유지가 되고 있고, 아직 유효기간이 다하지 않았다면 그대로 사용하셔도 됩니다만, 기간이 만료되어 다시 발행받으셔야 된다면 새로 도입된 간편인증을 사용해 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홈텍스의 간편인증

 

 

홈텍스의 경우, 민간의 전자서명 중 보완성이 높다고 인정한 5개 민간 전자서명 사업자를 선정하였습니다. 카카오, 통신사 PASS, 한국 정보인증(삼성 PASS), KB국민은행, NHN페이코가 그것입니다. 기존의 공인인증서를 새로 발급받거나, 기간 연장을 위해서는 은행 사이트에 방문하여 계좌정보도 입력해야 하고 보안카드도 입력하는 등 여러 가지 절차를 밟아야 했지만, 간편인증의 경우 훨씬 간편하게 발급받으실 수 있고, 유효기간도 더 긴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간편인증 발급방법

카카오의 경우는 카카오톡에 들어가셔서 더보기 > 지갑 만들기에서 인증서를 만드실 수 있으며, 다른 앱들도 더보기나 인증서 탭에서 간편인증을 만드실 수 있습니다. 많은 앱을 보유하고 있는 KB의 경우는 가장 메인 앱이라고 할 수 있는 KB 스타뱅킹 앱을 이용하여 인증센터 > KB모바일인증서 > 인증성발급/재발급 에서 발급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간편인증 발급위치

 

 

 

홈텍스 간편인증 로그인

발급을 받으셨다면 PC의 홈텍스 로그인 화면에서 간편인증 로그인 탭에서 발급받으신 간편인증 사업자를 선택한 후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하면 스마트폰의 발급받은 사업자의 앱을 통해서 사용자 인증을 마치고 난 후 다시 PC의 로그인 화면의 인증 완료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로그인을 마치실 수 있습니다.

홈텍스 로그인 화면
홈텍스 로그인 절차
홈텍스 간편인증 로그인

 

 

간편인증을 발급받으니 그간 공인인증서 갱신을 위해서 설치되고 지우기를 반복했던 많은 보안 프로그램을 깔지 않아도 되고, 가방 한편에 챙겨 놓았던 USB에서 벗어나 어차피 들고 다닐 핸드폰으로 나를 인증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으로 다가왔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