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FOMC의 7월 회의가 7월 26일과 27일 양일간 열립니다.
미국의 기준금리
지난 6월 FOMC를 통해서 미국은 기준금리를 0.75% 포인트 인상 (자이언트 스텝)하였습니다.
이는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 CPI가 컨센서스를 넘어서면서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한 조처입니다.
미국이 자이언트 스텝을 실시한 것은 94년 11월 이후 28년 만입니다.
6월 CPI는 9.1%를 기록하여 41년 이래 최고치를 기록하며 시장의 예상치 8.8%를 상회하였습니다.
때문에, 이번 7월 FOMC를 통해서 미국은 기준금리를 0.75%~ 1.0% 포인트 인상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초기에는 1.0% 포인트 인상 의견이 많이 나왔지만, 경제 성장의 둔화를 걱정한 의견들이 대두되면서 현재는 0.75% 포인트 인상이 유력해지고 있습니다.
7월 이후 남아 있는 올해의 FOMC회의는 9월 20일과 21일, 11월 1일과 2일, 12월 13일과 14일 열릴 예정입니다.
우리나라 기준금리
우리나라 금통위도 인플레이션에 대처하기 위해 이미 기준금리를 0.5% 인상하여 현재 기준금리는 연 2.25%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기준금리를 0.5% 포인트 인상하는 빅스텝을 단행한 것은 한국은행이 설립된 1950년대 이후 최초이며, 4월과 5월, 그리고 7월에 열린 금통위를 통해 세 차례 연속으로 금리를 인상한 것도 최초입니다.
우리나라의 6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원자재 및 곡물 가격 상승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6.0% 상승하며, 외화위기 이후 가장 높았으며, 물가 상승 기대 심리도 매우 강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이 6월 FOMC를 통해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예상되었기 때문에, 금리 역전으로 인한 달러 유출을 막기 위하여 금통위는 선제적으로 0.5% 포인트 인상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었습니다.
만일, 미국이 7월 FOMC를 통해 자이언트 스텝 또는 울트라 스텝 (1.0% 인상)을 단행한다면 다시금 금리 역전이 발생하지만, 우리나라의 높은 가계부채율과 경기 둔화를 막기 위하여 금리 인상이 부담스러운 한국은행의 고민이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소소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피 원두의 종류 (0) | 2023.08.30 |
---|---|
포뮬러 E (서울 E-Prix 2022) (0) | 2022.08.10 |
생활숙박시설 (0) | 2022.07.22 |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 (10월 18일~ 31일) (0) | 2021.10.17 |
갤럭시 A52s 출시일 및 스펙 (0) | 2021.09.02 |
댓글